Cisco 의 VPN은 대개 IPSec으로 구성된다. 보통 VPN은 LAN to LAN이거나 PC to LAN 을 지원하는데, 아마 관리자가 아닌바에야 PC to LAN 환경을 접하리라고 본다. 이런 경우에 관리자들에게 가이드 하나 제시하려고 한다. Default 구성의 경우 UDP를 사용하며 port 500을 이용하는데, 이왕이면, TCP를 이용하게 해달라. 왜냐면, UDP로 구성하는 경우에 PC의 환경이 공유기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에서 둘 이상이 접속해야하는 상황이 된다거나, 개인이 사용하더라도, Virtual Machine을 이용하여 들어가려한다거나 하는 상황이 되면, PC 한대에서밖에는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왠만하면, TCP로 접속하게 해주는 것이 다양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으니... 생..
플래시 기반의 오브젝트들을 네트웍으로 전달하는 포맷에 대한 Action Message Format의 스펙을 보면, 앞 부분에 정수형에 대한 encoding이 나옵니다. 0x00000000 - 0x0000007F: 0xxxxxxx 0x00000080 - 0x00003FFF: 1xxxxxxx 0xxxxxxx 0x00004000 - 0x001FFFFF: 1xxxxxxx 1xxxxxxx 0xxxxxxx 0x00200000 - 0x3FFFFFFF: 1xxxxxxx 1xxxxxxx 1xxxxxxx xxxxxxxx 0x40000000 - 0xFFFFFFFF: throw range exception 와 같은 표를 볼 수 있는데요. 흥미로운 것은 UTF8과 비슷한 방식으로 값에 따라 인코딩 결과가 1 바이트에서 4바이트..
Four Square라는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물론 안드로이드용으로도 있고, 윈도우 모바일용으로도 있을 것이다. 간단히 소개하자면, 내가 현재 있는 장소의 이름을 위치 기반으로 검색하고, 내가 거기 있음을 "CHECK IN"하는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장소가 검색되지 않으면, 내가 추가할 수 있다.) 장소는 음식점 이름이나 학교 이름 심지어 벤치에다가도 이름을 줄 수 있고, 어떤 장소는 이름이 여럿인 경우도 있다. 정확한 기간은 모르겠지만, 대략 한달정도 총 CHECK IN 수 대비 한 사람의 CHECK IN 수가 일정 비율(20%?) 이상을 넘으면 "Mayor"라는 타이틀(Mayorship)을 준다. 현재 나는 19 곳의 "Mayor"다. 어제까지만해도 20곳이었는데, 아마도..
http://ko.wikipedia.org/wiki/%E1%85%84%EA%B3%BC_%E1%85%8B 위 내용을 보니, 개화기 이후 외래어 표기에 대한 시도를 ㅇㅂ, ㅇㅍ을 붙여 쓰는 자음으로 제안하였었군요. 익숙함의 문제겠지만, 우리도 한글의 다양한 표현을 최대한 간편하게 줄여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 외국 발음을 한글로 표현한다면, 저렇게 자유도 높은 결합을 최대한 이용하는 방향으로 나가는게 맞고, 그런 한글을 본다면 술술 읽힐 것 같진 않네요.
오픈소스는 개발자 그룹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것임에는 틀림없다. 어떤 프로젝트의 메인에 위치할 수도 주변 모듈에 위치할 수도 있으니까. 오픈 소스를 가져다가 잘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프로젝트의 상당 모듈에 대한 설계를 쉽게 넘어갈 수 있지 않은가? 뭐 때론 납품을 해야하거나 메인 프로그램이 이미 공개된 소프트웨어 소스의 대부분을 사용하여 해결해야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라이센스문제만 허용한다면 문제될 것도 없다. 납품을 기대하는 당사자가 소스를 보는 것이 아니면 무슨 문제가 있으랴. 또한 서비스로 제공하는 부분에 대하여 소스 제공의 의무가 없는 것을 알고 있다면 이것 또한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오픈소스에 대해 잘 알고, 라이센스 문제도 없다. 그런데도 오픈소스를 가져다쓰는 양심상 문제가 생기..
웹서비스를 개발할때, 흔히 하듯 소스를 SVN에서 태깅후 java 컴파일 혹은 php 소스를 그대로 실서버에 반영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대신, 올릴 내용을 RPM으로 묶고, 적절한 rpm dependency를 걸어서 설치/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을 생각해보았습니다. RPM으로 배포를 하게되니, 새로운 웹서버를 구성할 때, 의존성에 따라서 필요한 서버 모듈들을 알아서 설치하게 되는 이점이 있더군요. 예를 들어 웹페이지 rpm에 필요한 꼭 설치해야하는 php 모듈들을 명시해 놓으면, 웹서버 설치시 빼먹을 수 있는 모듈들이 알아서 설치되는 것이 괜찮았습니다. 또한 DB 접속 파일등은 configuration 처리되므로, 굳이 스크립트에서 조심스럽게 하지 않아도 되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root 권한으..
다른 것은 모두 심정적으로는 결론이 나겠지만, 전 글꼴 문제만큼은 선택을 할 수 없는 분야인것 같습니다. 웹페이지를 디자인할 때, 글꼴을 설정해야하는것일까요...? 집에서 쓰는 크롬 브라우저는 나눔글꼴들을 쓰고 있는데, 이 상태로 위키피디어를 보면, 그 글꼴들이 살아납니다. 물론, 제 블로그에서도 그 글꼴을 그대로 보기 위해서 폰트 설정을 CSS에서 모두 지운상태입니다. 글꼴은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모든 PC에 원하는 글꼴이 설치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디자이너들은 원하는 폰트의 글씨를 그림으로 만들기 마련입니다. 오랫동안 좋은 폰트가 한국어용 MS Windows에 들어오지 못한 탓도 있겠지만, 좋은 폰트들이 많이 있었어도, 디자이너의 선택은 쉽지 않..
구성원이 일이 많아 피곤한 조직에서 나타나는 일차 징후는 프로세스를 굉장히 챙기는 것이다. 프로세스를 챙기는 일이 대기업 같은 곳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닌 것 같다. 한 회사내에서도 프로세스를 굉장히 따져서 핑퐁을 주무기로 삼는 조직이 있을 수 있는가하면, 어떤 조직은 일당백으로 처리한다. 물론 구성원의 성향이 영향을 미치겠지만, 기본적으로 얼마나 많은 일이 몰려 오느냐와 그 일을 업무적인 성실함만으로 해결하기에는 공식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말이 "프로세스는 이러하다..."는 말이다. 프로세스를 챙기되, 구성원이 놀고 있지 않고 있다면, 변화를 줘야한다. 조직을 늘이든, 병목과 밀접하게 일할 수 있도록 조직체계를 바꾸든... 피곤하지만, 생산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관리자들의 일차..
- Total
- Today
- Yesterday
- 커피
- Tattertools plugin
- VIM
- tattertools
- 대화
- 킹벤자민
- SVN
- 식물
- 오픈소스
- 수선화
- Subversion
- SSO
- writely
- 구근
- 클레로덴드럼
- 디버깅
- JavaScript
- MySQL
- 퀴즈
- TCP/IP
- Linux
- perl
- 덴드롱
- 벤자민
- BlogAPI
- url
- OpenID
- ssh
- macosx
- node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